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쓰던 커플링이 오래되어서 얼마전에 커플링을 바꾸었습니다.

새로 바꾼 커플링은 티파니앤코의 1837 티타늄으로 결정!

1837은 브랜드의 창립일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실제로 착용하여 호수를 알아보기로 하였습니다.

매장에 재고가 있다면 바로 구매가 가능하지만 재고가 없다면 주문을 해야한다고 하네요.

아쉽게도 재고가 없어서 주문하여 찾기로 하였습니다.

가격은 두개에 70만원이였습니다. 매년 가격이 올라가는 것 같네요.

매장에서 예쁘게 포장을 해주시네요.

착용샷!

개인적으로 너무 마음에 드네용~

커플링으로 추천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class파일을 jar파일로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cmd 명령프롬프트 창을 엽니다.

2. 압축하고자 하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3. 폴더로 이동했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주의할 점은 . 을 빼면 안됩니다.

 jar cvf catalina.jar .

catalina.jar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클립스에서 톰캣 8.5를 설치하여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The Apache Tomcat installation at this directory is version 8.5.57.  
A Tomcat 8.0 installation is expected.

위의 오류는 이클립스에서 톰캣의 버전을 8.0까지만 사용하도록 막아서 발생한 오류입니다.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법1. Catalina.jar의 파일 버전정보를 변경하기(8.5 -> 8.0)

1) Catalina.jar로 이동합니다. 파일은 톰캣의 /lib폴더안에 있습니다.

2) ServerInfo.properties파일을 수정합니다.

Catalina.jar 파일을 압축해제하여 아래의 위치에 있는 ServerInfo.properties파일을 수정합니다.

 : /lib/catalina/org/apache/catalina/util/ServerInfo.properties

변경전

변경후

3) 압축해제한 파일을 다시 jar파일로 압축합니다.

 

변경후 메세지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법2. 이클립스 Plugin Jar 파일 설치하기

1) https://bugs.eclipse.org/bugs/attachment.cgi?id=262418&action=edit 로 이동합니다.

 

2) 다운로드 받은 후 설치된 이클립스 Plugin폴더에 넣고 재시작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SH Secure Shell Client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아래 링크를 참조하여 SSH를 설치합니다.

SSH 다운로드 링크

https://code.google.com/archive/p/internet-works/downloads

 

https://www.ohlone.edu/download-and-install-ssh-secure-shell-secure-file-transfer-client-windows-web-center

SSH Secure Shell Client와 SSH Secure File Transfer Client가 바탕 화면에 설치가 됩니다.

2. SSH Secure Shell Client 을 실행 -> Quick Connect 클릭 -> 아래 서버 정보를 입력 후 Connect

 - Host Name: 접속하려는 서버 IP

 - User Name : 계정 IP

 - Port : 22 (기본) 또는 설정된 포트로 변경.

 

3. Connect가 되었다면 Password를 입력합니다.

3. 연결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SSH Secure File Transfer Client을 사용법

연결된 SSH에 표시된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며 리눅스 파일을 윈도우에서 다운로드,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C에 저장된 임시폴더(temp) 경로 수정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temp경로에 쌓이는 폴더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하지 않고 바로 보기하는 경우 해당 경로에 파일들이 쌓이게 됩니다.

 

1. 내 PC -> 속성(R) 클릭

2.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

3. 환경 변수(N) 클릭

4. TEMP, TMP 더블 클릭

5. 사용자 변수 편집

원하는 변수 값으로 수정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10에서 telnet 사용법에 대해 공유하려고합니다.

 

cmd에서 telnet naver.com 80 실행시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네요.

‘telnet’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telnet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제어판 -> 프로그램 클릭

2. 프로그램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클릭

3. Telnet Client 또는 텔넷 클라이언트 체크 후 확인.

3.1 telnet 설치중.

 

3.2 telnet 설치완료.

4. 다시 cmd창에서 telnet naver.com 80 을 실행해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불필요한 ActiveX를 삭제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전에 Activ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ctiveX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IE(인터넷 익스플로러)용 플러그인입니다.

플러그인이란 브라우저로 플래시 영상같은 것을 보려면 추가적으로 설치를 해야하는 외부 프로그램입니다.

브라우저가 처음 나올때 플래시 영상 등 여러 기능을 대비하여 개발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플러그인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ActiveX는 없애려는 추세입니다.

 

이제 불필요한 ActiveX를 삭제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E(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 -> 설정 -> 추가 기능 관리(M) 클릭

2. 추가 기능 관리에서 현재 설치된 ActiveX 정보가 보입니다.

삭제하고자 하는 ActiveX를 더블클릭 또는 우클릭 -> 추가 정보(R)을 선택합니다.

모든 사이트 제거(R)을 클릭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 사용중인 포트 확인하여 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클립스에 여러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뜨네요.

"Server port In Use 8080-Http" - 8080포트를 이미 사용중이라고 합니다.

하나의 이클립스만 실행 했음에도 아래 메세지가 뜬다면 사용중인 포트를 확인하여 종료를 해야할 것입니다.

사용중인 포트의 PID를 찾아 프로세스를 kill해보겠습니다.

1. cmd 창을 실행합니다. [시작] -> cmd 또는 [윈도우 버튼]+R -> cmd 확인

 

1. 포트 확인 (netstat -ano | findstr 8080)

2. PID 찾기( tasklist | findstr 23588 )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중이네요.

3. 프로세스 kill하기 ( taskkill /f /pid 23588 )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