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개인 pc 사용 기록을 확인해보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사내에서 종료 후 퇴근을 했지만 출근 후 내 피시가 켜져있다면?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뷰어를 통해 부팅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는 윈도우 업데이트, 발생한 오류, 시작, 종료 기타 등 모든 이벤트를 기록합니다.

이벤트 뷰어를 통해 윈도우 시작/종료 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윈도우] + R키를 누릅니다.

2. eventvwr.msc 입력 후 확인.

이벤트 뷰어 창이 실행됩니다.

 

3. Windows 로그 -> 시스템

윈도우 업데이트, 발생한 오류, 시작, 종료 기타 등 모든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현재 로그 필터링.. 클릭

필터를 통해 원하는 이벤트만 조회가 가능합니다.

현재 로그 필터링 화면

  * 이벤트 ID
  • 6005 : 시스템 시작 시 기록
  • 6006 : 시스템 종료 시 기록
  • 6008 : 비정상적 시스템 종료 시 기록
  • 6009 : 시작 시 OS 버전, 빌드 번호, 시스템 관련 정보 기록
  • 4624 : 계정 로그인
  • 4627 : 계정 로그아웃

 

5. 이벤트ID에 맞게 작업 범주를 입력합니다. (<모든 이벤트ID> 부분.) 

저는 시작, 종료 기록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일반적으로 [시작]버튼을 누르고 전원의 재시작을 선택하여 윈도우 재시작을 합니다.

이를 cmd(명령 프롬프트)창에서도 재시작을 할 수 잇습니다.

윈도우 콘솔창에서 재시작/종료/로그오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시작] -> cmd를 검색합니다. 

또는 [윈도우키]+R -> cmd 확인을 누릅니다.

2. cmd(명령 프롬프트)창이 실행됩니다.

* 재시작/종료/로그오프 명령어
  • shutdown -r — 재시작
  • shutdown -s — 종료
  • shutdown -l — 로그오프

 

3. 재시작/종료/로그오프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저는 윈도우 재시작을 해보겠습니다. 

shutdown -r 엔터를 누르면 윈도우 재시작 안내 메세지가 뜨며 윈도우가 재시작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실제 운영중인 제우스 서버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JSP를 급하게 수정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급하게 수정한 JSP에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급히 백업 받은 소스로 덮어쓰기를 하였지만 수정된 JSP가 계속 적용되어 프로그램 사용에 문제가 있었던 적이 있습니다.

원인은 수정 후 적용된 JSP가 class파일로 계속 남아있어 백업 소스가 적용되지 않았던 것이였습니다.

수정한 소스 위치를 찾아 삭제 후 재요청을 하니 해결되었습니다.

JEUS6에 JSP가 적용 되지 않을 경우 조치 방법에 대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 JEUS6 jsp 컴파일 경로

 : /jeus/jeus6/webhome/[container name]/_generated_/[webContext name]/jeus_jspwork

 : $JEUS_HOME/webhome/컨테이너명/_generated_/어플리케이션명/jeus_jspwork

수정한 jsp 위치 찾아서 삭제 후 재요청

삭제시 재요청에 의해 클래스 파일이 생성되겠지만 소스 백업은 필수입니다.

 

- JSP 서비스 방식

클라이언트가 해당 JSP에 접속(JSP) -> java -> servlet class 파일로 컴파일 되어 서비스

이는 최초 사용자의 요청에 한번만 이루어지며 이후 요청에 대해 servlet class로 서비스를 하는 방식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격데스크탑(RDP) 접속시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링해보니 위 오류는 윈도우10 보안 업데이트 진행 후 발생하는 현상이였습니다.

CredSSP(Credential Security Support Provider 프로토콜)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인증 요청을 처리하는 인증 공급자.

 

해결 방법

시작 버튼을 누르고 gpedit.msc 을 입력 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실행됩니다.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시스템 -> 자격 증명 위임 -> 암호화 오라클 수정 우클릭 편집

옵션을 사용으로 변경 보호 수준 취약으로 선택하고 적용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취약함: CredSS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은 안전하지 않은 버전으로의 대체를 지원함으로써 원격 서버를 공격에 노출시키며 CredSSP를 사용하는 서비스는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클라이언트를 허용합니다.

적용 후 원격데스트탑(RDP) 실행시 정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본인 PC 또는 노트북에 설치된 디스크가 SSD인지 HDD인지 확인해보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매한 노트북은 디스크 용량을 알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죠.

장치 관리자를 통해 SSD / HDD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시작 버튼을 누르고 "장치 관리자"를 검색하여 클릭합니다.

 

2. 장치 관리자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사용중인 노트북에 설치된 디스크 목록이 나옵니다.

디스크명에 SSD 또는 HDD가 쓰여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3. 목록에 나온 디스크명을 네이버에 검색합니다.

SSD 512GB입니다.

MZVLB512HAJQ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네임서버(Name serve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컴퓨터는 Internet Protocol(IP)라고 불리는 일련의 숫자를 통해 주소를 인식합니다.
 ex) 111.222.333.444
하지만 숫자는 사람이 기억하고 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단어와 숫자의 조합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ex) https://www.naver.com
네임서버(Name server)도메인 이름과 IP의 변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버입니다.
대부분 도메인 이름은 2개의 네임서버를 갖게 되는데, 이는 두 개의 네임서버가 서로 병렬로 동작하면서 네임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네임서버는 도메인과 IP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전에 모든 인터넷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로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숫자로 된 주소는 복잡하고 기억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간단히 표시할 수 있는 도메인(Domain)이 주소 역할을 할 수 있게 규약이 생긴 것입니다.
때문에 아무리 도메인을 등록하였다 하여도 네임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IP에 대한 설정 정보가 없다면 그 도메인으로 어떤 주소로도 접속이 되지 않으며,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또는 " 페이지에 연결할 수 없음"라는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위와 같은 메세지가 발생한다면 네임서버에 도메인이 정확히 등록되었는지 IP는 제대로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본인이 설치한 mssql의 버전을 까먹는 경우가 있죠

제가 그랬습니다...ㅎㅎ

 

구글링해보니 쿼리로 설치된 MSSQL 버전을 확인할 수 있더라구요.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lect @@VERSION

 

조회 결과

Microsoft SQL Server 2012 (SP3) (KB3072779) - 11.0.6020.0 (X64) 
Oct 20 2015 15:36:27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Standard Edition (64-bit) on Windows NT 6.3  (Build 9600: ) (Hypervisor)

Microsoft SQL Server 2012버전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자세한 버전에 대한 함수 정보는 아래 URL을 통해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sql/t-sql/functions/version-transact-sql-configuration-functions?redirectedfrom=MSDN&view=sql-server-ver1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테이블 내 컬럼을 조회하려나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발생하였습니다.

키워드 'lineno' 근처의 구문이 잘못되었습니다.

구글링 결과 mssql에서 lineno를 키워드로 사용하고 있어 발생하였습니다.

키워드를 컬럼명으로 사용을 원한다면 "" 따옴표를 붙여 조회하시면 됩니다.

ex) select "lineno" from dual;

 

예약어

https://docs.microsoft.com/ko-kr/sql/t-sql/language-elements/reserved-keywords-transact-sql?view=sql-server-ver1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