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테이블 조회
  1) 테이블 목록 조회
     SELECT * FROM all_all_tables;

     SELECT * FROM dba_tables;

     SELECT * FROM ALL_OBJECTS 
     WHERE OBJECT_TYPE = 'TABLE';

  2) 접속한 계정의 테이블 목록 조회
     SELECT * FROM tabs;
 
     SELECT * FROM USER_OBJECTS 
     WHERE OBJECT_TYPE = 'TABLE';
 
     SELECT * FROM USER_TABLES;

  3) 테이블 코멘트 조회
     SELECT * FROM ALL_TAB_COMMENTS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SELECT * FROM USER_TAB_COMMENTS;


2. 컬럼 조회
  1) 컬럼 조회
     SELECT * FROM COLS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SELECT * FROM ALL_TAB_COLUMNS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SELECT * FROM USER_TAB_COLUMNS;

  2) 컬럼 코멘트 조회
     SELECT * FROM USER_COL_COMMENT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에서 사용중인 포트의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의 서버가 윈도우라면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중인 경우 포트 충돌이 날 수 있습니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1. 사용중인 포트 확인

 cmd 창을 열고 netstat -ano | findstr :8080 입력합니다.
 -> 8080포트의 PID를 조회합니다.

2. 조회한 PID를 갖고 프로세스명 확인 

 tasklist | findstr 22804

 tasklist | findstr 8244

프로세스명이 javaw.exe, iexplore.exe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톰캣 로그파일인 catalina.out 로그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그 파일을 초기화하는 이유는 용량 때문이죠.

로그 파일로 인해 디스크가 풀이 난다면 서비스 다운의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카탈리나 로그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의 경우 크론 파일 등록하여 매일 12시에 로그를 삭제하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1. 카탈리나 로그 초기화 명령어

cat /dev/null > /톰캣위치/apache-tomcat-xxx/logs/catalina.out

 

2. 쉘 파일 생성

 초기화 명령어 입력후 아래와 같이 쉘 파일 생성.

 : 서비스명_catalina_log_init.sh 

 

3. 크론(Cron), 스케줄러 등록

 : 0 1 * * * /생성한 쉘파일 위치/서비스명_catalina_log_init.sh  

 -> 매일 12시에 초기화를 하겠다는 크론 명령어

 

4. 등록된 크론 확인

  : crontab -l

단순 카탈리나 로그파일만 초기화 하고 싶다면 

2,3,4번은 생략하고 톰캣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cat /dev/null > /톰캣위치/apache-tomcat-xxx/logs/catalina.ou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클립스 SVN으로 작업한 내용을 commit하려고 할 때 is out of date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원인은 같이 파일을 작업하는 개발자의 커밋된 파일을 커밋받지 않아 발생한 오류입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상위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커밋해주시면 됩니다.

1) team -> Update to Version

2) Ok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흔히 압축 파일은 zip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업무중에 7z의 압축형태의 파일을 받아보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7z 전용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7-zip 프로그램을 사용해 압축 해제 해주면 됩니다.

 

1. 아래 URL 접속

www.7-zip.org/

 

7-Zip

7-Zip 7-Zip is a file archiver with a high compression ratio. Download 7-Zip 19.00 (2019-02-21) for Windows: Link Type Windows Size Download .exe 32-bit x86 1.2 MB Download .exe 64-bit x64 1.4 MB Download 7-Zip 21.01 alpha (2021-03-09) for Windows: Link Ty

www.7-zip.org

2. os버전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

2. 7z1900-x64.exe 파일 실행하여 설치합니다.

3. 7z파일 우클릭하여 해제하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개발하면서 서비스 장애로 인해 덤프 파일을 분석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덤프 파일 생성 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0. 프로세스 pid 조회하기

 : ps -ef | grep java

 : 실행중인 자바 프로세스 확인하는 명령어

 

1. 힙 덤프 (Heap dump)

 : 덤프 파일의 확장자는 .hprof

 jmap -dump:format=b,file=[덤프파일이름]_dump.hprof pid

 

힙덤프 분석 tool - Eclipse Memory Analyzer (MAT)

1) Eclipse Memory Analyzer (MAT) 다운받기

 : www.eclipse.org/mat/downloads.php

 

Eclipse Memory Analyzer Open Source Project | The Eclipse Foundation

The Eclipse Foundation - home to a global community, the Eclipse IDE, Jakarta EE and over 375 open source projects, including runtimes, tools and frameworks.

www.eclipse.org

 : OS버전에 맞게 다운

 

2) 사용법

 : spoqa.github.io/2012/02/06/eclipse-mat.html

 

Eclipse Memory Analyzer 소개

Eclipse Memory Analyzer(MAT)을 소개하고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들을 알아봅니다.

spoqa.github.io

2.  스레드덤프 (Thread dump)

 jstack -l pid >> [덤프파일이름]_thread_dump.log

 

2-1)스레드덤프 분석 사이트

fastthread.io/ft-index.jsp

 

fastthread.io

Thread Dump Analysis REST API In this modern world, thread dumps are still analyzed in a tedious & manual mode. i.e., Operations engineer captures thread dumps from the production servers; then he transmits those files to developers. Developers use thread

fastthread.io

3. 프로세스 스택 (pstack)

pstack은 프로세스의 스택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쓰레드의 상태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pstack $pid >> [프로세스스택명]_pstack.tx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회사에서 아웃룩 많이들 사용하고 계시죠.

와이파이 또는 핫스팟으로 연결된 환경에서 위와 같은 메세지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아웃룩 네트워크 요금제 경고 메세지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클릭

2. 이더넷 -> 연결된 인터넷 클릭

3.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 끔

 

참고URL

answers.microsoft.com/ko-kr/msoffice/forum/msoffice_outlook-mso_windows8-mso_2016/outlook-%EC%8B%9C%EC%9E%91%EC%8B%9C/a67f324f-b21e-419e-a1f4-7cef7addfcf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업무 중 듀얼모니터 많이 사용하실 텐데요.

듀얼모니터 의 디스플레이 정렬 또는 여러 가지 문제로 띄어놓은 창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사라진 창을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lt + tab으로 사라진 창을 활성화 시켜줍니다.

 

2. 사라진 창이 활성화 되었다면 alt+space+M을 입력합니다.

 : alt + space 는 창의 메뉴를 입력하는 기능

 : M은 해당 화면을 이동하는 단축키입니다.

3. 사라진 창을 화살표 방향키 또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화면으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