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라클 사용하여 개발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는데요.

  • ORA-01031: insufficient privileges
  • ORA-01031: 권한이 불충분합니다

구글링 결과 공유 드립니다

 

1. 원인

 : 사용하고 있는 계정이 쿼리를 실행할 권한이 없어서 발생한 오류

 : DDL 관련 쿼리 접근 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

 

2. 해결 방법

1) DBA에게 관련 내용 문의

 : DBA에게 실행하고자 하는 쿼리와 권한 부여 요청을 한다.

 

2) DBA가 없다면

 : admin 계정을 확인하여 권한을 부여

 : GRANT CREATE ANY TABLE TO [사용하는 계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쉘 스크립트 실행시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하며 쉘파일이 실행되지 않는 오류가 있는데요.

Permission denied or 허가 거부로 나타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chmod +x test.sh

권한변경후 쉘파일을 실행하니 정상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javac를 이용해 class파일 생성도중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는데요.

unmappable character for encoding MS949

구글링해보니 컴파일시 오류로 인코딩을 지정해줘야 한다고 하네요.

또는 해당 파일의 인코딩을 UTF-8로 변경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겠네요.

 

1. 윈도우

javac extract.java -encoding UTF-8

2. 리눅스

/자바 설치경로/bin/javac -encoding UTF-8 ./extract.java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10 클립보드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c에서 Ctrl + C(복사), Ctrl + V(붙여넣기) 기능 많이 사용하고 계실텐데요.

클립보드는 복사, 붙여넣기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입니다.

클립보드 설정 과 사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1. 클립보드 설정 켜기

1) 윈도우키 -> 클립보드 검색 -> 클립보드 설정 클릭

2) 아래 화면의 클립보드 검색기록 켬 클릭.

이렇게 되면 클립보드 기능이 동작합니다.

 

2. 클립보드 사용법

1) 윈도우 키 + V 를 입력합니다.

2) 복사한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티베로 버전 확인 쿼리

 

SELECT * FROM vt_version;

 

결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 팝업을 이용해 개발하던 도중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SCRIPT87: 잘못된 인수입니다.

 

크롬에서는 문제없지만 IE에서만 발생하는 오류.

[수정방법]
var a = "123-456";
a = a.replace('-', '_');

window.open(urlStr,a,popOptio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 자바 OOME(OutOfMemory)를 겪어 본적이 있을 것 같은데요.

OOME(Out Of Memory Error)는 JVM의 메모리가 부족하여 발생한 에러 입니다.

OOME는 자바의 일반적은 오류와 달리 대응이 쉽지가 않습니다.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JVM Option으로 덤프 파일을 생성한 후 덤프 파일을 분석하여 해결을 해야 합니다.

짧은 시간으로 오류를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OOME발생시 JVM옵션을 이용하여 톰캣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는데요.

JVM의 OnOutOfMemoryError 옵션을 사용하여 OutOfMemroy 발생 이후에 특정 동작을 지정하면 됩니다.

 

1) 톰캣의 catalina.sh 실헹

 : CATALINA_OPTS의 아래 옵션을 추가합니다.

CATALINA_OPTS="-Djava.awt.headless=true -server -Xms2048m -Xm2048m -XX:MaxPermSize=256m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XX:OnOutOfMemoryError=/app/serviceRestart.sh

 

2) 재시작 쉘 스크립트 생성

#!/bin/sh
 
export JAVA_HOME=/usr/local/java
export PATH="$PATH:$JAVA_HOME/bin"
export CATALINA_HOME=/usr/local/tomcat8
 
 
# 톰캣 서비스 다운
/app/tomcat8/bin/shutdown.sh
#시간은 서비스 기동 시간에 따라 조절.
sleep 60

# 톰캣 서비스 시작
/app/tomcat7/bin/startup.sh

shutdwon.sh로 서비스가 중단이 안되는 경우 force 옵션을 추가하면 강제로 중지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테이블 데이터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테이블 삭제하기

 1-1) DROP

     DROP TABLE 테이블명;

 

2) 테이블 데이터 삭제하기

 2-1) DELETE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절];

 

 2-2) TRUNCATE

     TRUNCATE TABLE 테이블명;

 

DROP은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며 DELETE, TRUNCATE는 테이블 구조는 그대로 남고 테이블 내 삭제만 됩니다.

DELETE, TRUNCATE의 차이점

DELETE는 데이터만 지워지며 디스크 용량은 그대로 가짐

TRUNCATE는 데이터 뿐만아니라 용량도 삭제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