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outlook pop3 설정을 통해 피시에서도 메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msoffice 정품인증이 되어있단 가정하에..)

pop3 설정 과정 중에 메일을 받아온 메일을 삭제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데요.

저는 삭제 옵션을 체크하는 바람에 그룹웨어 메일이 삭제되는 현상이 발생했네요..

먼저 삭제 옵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기간 후에 서버에서 제거(R)가 체크 되어있었네요..

먼저 체크를 해제해줍니다.

삭제된 메일을 다시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utlook에서 eml파일을 받으면 되겠다고 생각했으나 outlook에서 eml다운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저장이 안되는 것은 아니였고 msg파일로 저장을 해줘서 msg파일을 eml로 변환하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장 방법은 간단합니다. 다운받고자 하는 메일 우클릭하여 복사 붙여넣기하면 됩니다.

전체메일을 복사하고 싶다면 ctrl + a 후 복사하면 되겠죠.

구글링 결과 msg파일을 eml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었네요.

https://gallery.technet.microsoft.com/msg-eml-03042041

해당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설치해줍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1) msg폴더를 클릭 후 convert 버튼을 눌러줍니다.

2) Select Saving Option 셀렉 박스를 통해 eml 파일을 선택합니다. (eml외 다른 파일도 변환이 가능합니다)

 convert버튼 클릭!

 

3) 아래와 eml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알면 쉽지만 모르면 어려웠던 msg파일 eml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 변환시 최대 25개파일까지만 지원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Buy now 버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료인것 같네요ㅜ 

세상에 공짜는 없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바 string타입을 date타입으로 변환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x) yyyymmdd

 

 

	String sDate = "20190428";
    String eDate = "20190505";
    String startDate = "";
    String endDate = "";
    
	SimpleDateFormat before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Date로 변경하기 위해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경
	SimpleDateFormat after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Date tempDate = null;
	Date tempDate2 = null;
		    
	//yyyymmdd로된 날짜 형식으로 java.util.Date객체를 만듬
	tempDate = beforeFormat.parse(sDate);
	tempDate2 = beforeFormat.parse(eDate);
		   
	//Date를 yyyy-mm-dd 형식으로 변경하여 String으로 반환
	startDate = afterFormat.format(tempDate);
	endDate = afterFormat.format(tempDate2);
    
    System.out.println("startDate: " + startDate); // 2019-04-28
    System.out.println("endDate: " + endDate); // 2019-05-0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톰캣 web.xml에서 세션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세션 시간은 30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의 경우 세션 시간을 제한한다면 다시 로그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죠.

그래서 세션 시간을 변경하는 법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설정은 간단합니다.

web.xml에서 session-cofig 노드를 찾아줍니다.

디폴트로 30이 되어있는네요 이는 30분을 의미합니다.

 

-1로 변경하는 경우 시간 체크를 하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라클 테이블에 들어있는 데이터 용량에 대에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정확한 테이블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analyze문을 이용해 통계 정보를 작성합니다.

 

저는 삭제 전 데이터 용량과 삭제 후 데이터 용량이 필요했습니다.

삭제전 용량을 미리 측정합니다.

1) 테이블 용량 확인

select 
        table_name, 
        num_rows,
        num_rows * avg_row_len, 
        round((num_rows * avg_row_len/1024/1024),2) "SIZE(Mb)", 
        round((num_rows * avg_row_len/1024/1024/1024),2) "SIZE(Gb)",
        last_analyzed
from user_tables

where table_name='테이블명'

;
2) 데이터 삭제 후 analyze구문 이용
analyze table 테이블명 compute statistics;

3) 다시 테이블 용량 확인

select 
        table_name, 
        num_rows,
        num_rows * avg_row_len, 
        round((num_rows * avg_row_len/1024/1024),2) "SIZE(Mb)", 
        round((num_rows * avg_row_len/1024/1024/1024),2) "SIZE(Gb)",
        last_analyzed
from user_tables

where table_name='테이블명'

;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삭제 전 용량은 약 500MB 삭제 후 용량은 32MB로 용량이 확실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라클 10g에서 오라클12c로 업그레이드를 해서 ojbdc.jar를 변경해줘야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저는 oracle12c에 맞는 ojdbc6.jar에서 ojdbc7.jar로 변경해주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ojdbc7.jar로 변경하고 select해본 결과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Caused by: java.lang.UnsupportedClassVersionError: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 Unsupported major.minor version 51.0

구글링 결과

jdk버전에 맞지 않는 lib를 추가해서 발생한 오류였습니다.

즉 jdk버전은 1.6인데 ojdbc7.jar를 사용해서 에러가 발생한 것

 

oracle사이트에 들어가 oracle12c에 맞는 jdk버전을 확인해봤습니다.

 ojdbc7.jar : jdk7 또는 jdk8버전 

 ojdbc6.jar : jdk6버전

https://www.oracle.com/technetwork/database/features/jdbc/jdbc-drivers-12c-download-1958347.html

 

결론은 jdk버전에 따라서 오라클 ojdbc.jar 버전도 달랐던 것이었습니다.

 

jdk 버전에 맞는 jar파일 다운받아서 사용해야합니다.

오라클버전 jdk버전 jar
orcale 12c JDK 1.7이상 ojdbc7.jar
JDK 1.6이상 ojdbc6.jar
oracle 11g JDK 1.6이상 ojdbc6.jar
oracle 10g JDK 1.4, 1.5이상 ojdbc14.ja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라클 데이터를 개행으로 입력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elect '안녕하세요. ' || '홍길동입니다.' from dual;

 :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2) select '안녕하세요. ' || CHR(13) || CHR(10) || '홍길동입니다.' from dual;

 : 안녕하세요.

 : 홍길동입니다.

 

3) select '안녕하세요. ' || CHR(10) || CHR(13) || '홍길동입니다.' from dual;

 : 안녕하세요.

 : 

 : 홍길동입니다.

 

ex) 업데이트 쿼리

update tbl_opinion set opinion = '안녕하세요.' || CHR(13) || CHR(10) || '홍길동입니다.' || CHR(13) || CHR(10) || '잘부탁드립니다.'

where opinionid = ''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요: ​드라마 | 한국 | 105분
개봉: ​2019.02.27
줄거리: ​1919년 03월 01일 만세운동 후 3평도 안 되는 서대문 감옥 8호실 속, 영혼만은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유관순과 8호실 여성들의 1년의 이야기.



3월 1일 기념으로, 관람했던 영화 항거: 유관순 이야기 후기글을 올립니다.
(아이패드로 작성하다보니, 원활하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네요ㅠㅠ)


1919년 만세운동으로 일본의 무력 진압에 의해 서대문 형무소에 들어온 유관순.
그녀는 법정에서 의자를 던졌을 만큼 일본에 대한 저항심이 큰 소녀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일본 고위관리층(형무소)에게도 관리 대상으로 찍혀있었죠.




1심서 징역 5년형을 받은 그녀, 고된 고문을 받고 3평 남짓한 8호실에 갇히게 됩니다.
그 곳에서 그녀를 반겨주는 사람도 있었지만 그녀의 만세운동으로 인해 가족을 잃은 여인도 있었죠.



그녀가 일본에 대한 저항심이 큰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고향이었던 평촌에서 가족들과 동네 주민들이 모두 만세운동을 할 때,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사랑하는 부모가 눈 앞에서 죽고 맙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눈 앞에서 죽었는데, 살고싶은 의지가 생길까요ㅜㅜ일제에 대한 복수심(?)이 더 커질 것만 같습니다.


8호실 속 25명의 여인들은 각기 다른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임신한 산모, 아들을 잃은 아주머니, 유명한 기생, 학생 등 다양했죠. 하지만 일제에 대한 저항심만은 같은 그녀들이었습니다.


만세운동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자처하여 수형소 잡일을 하고자한 유관순.
일제가 1919년 만세운동이 다시 반복되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안 그녀는, 양잿물로 빨래를 하면서 만세운동 1주년이 되기까지 준비합니다.


수용소 안에서 만세운동을 시작한 그녀, 그 울림이 퍼지자 일제는 이를 주동한 인물을 찾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녀의 행적이 바로 잡히고 맙니다... 잦은 고문으로 인해, 그녀는 수용소 안에서 생을 마감하죠...


이 포스트를 올리기 위해 그녀를 조사해 봤습니다.
영화보다 더 잔인한 고문을 견뎠고... 특히 여성으로써 잔인한 것들이 많네요ㅠㅠ

사인은 무차별한 성폭행으로 인한 자궁파열이라고 합니다..

당시 유관순 열사의 시신은 온전한 형태로 볼 수 없었다고 하네요.. 고문의 흔적으로 코와 귀도 없었다고 합니다..

꽃다운 나이, 17세인 그녀가...결국 18세에 사망하고..

그녀의 저항의지와 독립을 향한 열정으로, 우린 독립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녀가 받았던 고문을 그대로 표현할 수 없었지만 그 고통은 느껴진 영화, 항거: 유관순 이야기
많은 관람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패스워드를 잃어버린 경우 root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요. 

일반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패스워드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먼저 root로 로그인을 해줍니다.

root계정으로 리눅스 계정을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grep /bin/bash /etc/passwd | cut -f1 -d:

root와 tmax라는 계정이 존재하네요.

tmax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해보겠습니다.

1) passwd tmax

패스워드 입력 

패스워드 재입력

사용자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