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5. sudo(Super User DO), 수도명령어

sudo란? 일반 사용자로 접속하여 사용하다가 경우에 따라 슈퍼의 권한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sudo 권한이 필요한 이유는 a라는 사람의 파일을 b가 마음대로 사용하면 안되겠죠?

그래서 permission 권한을 지정했습니다.

sudo의 사용의 예입니다.

apt-get install git : 깃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명령어 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사진과 같이 "Permission denied" 권한을 거부하는 메시지가 뜹니다.

 · sudo apt-get install git 앞에 sudo 명령어를 붙여 줘야 설치가 됩니다.

개발자 개그에 "아들아 엄마가 하는 말 앞에는 sudo가 붙는 것을 명심해라"라는 개그가 있는데요

그만큼 sudo명령어가 엄마만큼 중요하답니다.ㅎㅎ



6. nano, 파일 편집

파일 편집이란? 파일을 만들고 편집하는 방법인데요.

운영체제에서는 파일은 정보 저장의 기본적인 수단입니다.

디렉토리는 파일을 잘 정리 정돈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라고 합니다.

정보 저장을 위해서 파일 편집기를 이용합니다.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어 기반에서도 편집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nano, vi가 있습니다.

nano는 리눅스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vi는 리눅스 중,고급자 분들에게 추천한다고 하네요. vi는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두 개의 편집기는 대부분의 리눅스 계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사용법을 익히면 어디든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콘솔창에 nano 명령어 입력후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글자가 깨져있네요. ㅜㅜ

^g, ^0, ^k, ^j 등등의 명령어가 있습니다. 여기서 ^는 호스트 키를 의미해요.

각자 기억하기 쉬운 호스트 키를 지정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nano 파일 명 후 엔터를 치면 파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ctrl+0 : File Name to Write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파일 이름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엔터를 하면 wrote 문장수 lines 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도 합니다.

 · ctrl+c : 취소하는 기능입니다.

 · ctrl+g : 나노의 도움말 기능입니다.

 · ctrl+x : nano를 나가는 기능입니다. exit

 · ctrl+k : 잘라내기 기능을 합니다.

 · ctrl+u : 붙여넣기의 기능입니다.

 · ctrl+6 : 드래그 기능인데요, 화살표를 이용해 커서를 이동시킵니다. 

복사하려는 텍스트 다음까지 커서를 이동해주세요

 · ctrl+w : 원하는 텍스트를 찾아주는 기능입니다.  ctrl+f 기능이죠.

스트키+w한 번더 눌러준다면 원하는 다음 텍스트로 이동합니다. 



nano의 기능들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7. Package Manager, 패키지 매니져

Package Manager란?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ackage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뜻합니다. 패키지가 갖고 있는 기능들을 이용해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는데요.

리눅스에는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ls, mkdir 등이 있습니다.

리눅스는 Package Manager를 제공합니다. 앱 스토어(구글 스토어 등)가 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필요한 프로그램을 찾고 다운 받아 설치,삭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apt, yum이 있습니다.

 · apt-get update; : Package Manager를 통해 설치하는 소프트웨어 상태를 최신으로 하는 명령어 입니다.

 하지만 Permission denied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아래에 사진에는 글자가 깨져있네요..

 · export Lang=C : 명령어를 쓰고 엔터를 치고 다시 확인하면 글씨가 잘 보입니다.



업데이트를 완료했다면 htop프로그램을 설치해보겠습니다.

 · sudo apt-cache search htop : htop로 시작하는 프로그램을 찾아줍니다.

 · top : 윈도우에서 작업 관리자와 같은 역할

 · htop : top프로그램을 개선한 프로그램입니다.



 · sudo apt-get install htop : htop 프로그램을 내 컴퓨터에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upgrade htop :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update가 아니에요!

 · sudo apt-get remove htop : htop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명령어 입니다.

 · htop 나 top 프로그램을 들어가고 q를 누르면 빠져 나올수 있어요~


아래 사진을 보시면 조금? 화려한 작업 관리자 화면으로 설치 되었네요ㅎㅎ



Package Manager는 기본적으로 갖고 있지 않은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데요.

주어진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느냐 필요한 것을 다운 받아 사용하느냐의 차이인데요.

원하는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려면 패키지 매니져는 필수일 것 같습니다.


생활코딩 리눅스 강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는  미래지향적인 운영 체제라고 합니다.

그래서 리눅스에 대해 공부중입니다.

리눅스에 명령어와 익숙해지고 친해지려고 합니다!


리눅스 설치 방법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머신에 설치, 가상머신에 설치하는 3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1) 클라우딩 컴퓨팅 : 가상 호스팅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가 있습니다.

 2) 머신에 설치 : 컴퓨터나 노트북에 직접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3) 가상머신에 설치 : 운영체제 안에 또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나 맥OS에 가상머신을 설치하여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이죠.                 

(저는 가상 머신에 우분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공부중입니다.)


1. 디렉토리와 파일

기본적인 리눅스, 유닉스 계열을 동작시키는 방법입니다.

리눅스의 기본은 터미널(콘솔)과 파일입니다.

아이콘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방식이 있고

터미널(콘솔)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제어하는 CLI(Command Line Interface)방식이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는 CLI방식을 사용합니다.


명령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ls -al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는 명령어

 · pwd :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를 확인하는 명령어

 · mkdir 새로 생성할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를 새로 만드는 명령어

 · ls -l : 디렉토리를 자세히 보여주는 명령어

 · cd 디렉토리명 :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바꾸는 명령어

                        (cd 디렉토리명의 몇 글자만 입력하고 tab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 clear : 콘솔 화면을 깨끗하게 지워주는 명령어

 · logout : 로그아웃 명령어

 · rm -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리눅스 명령어 성공 시 메세지가 나타나지 않아요. (과묵한 녀석)

실패 시에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ex-1.1) 

cd hello_linux

pwd : hello_linux로 이동합니다.

ex-1.2) 

cd /home/killershin

pwd : 홈 밑 killershin로 이동합니다.

ex-1.3)

rm -r hello_linux : hello_linux 디렉토리를 제거합니다.



2. --help와 man,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을 익히겠습니다.

 · 디렉토리명 --help : 디렉토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나옵니다.

 · man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전용페이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페이지를 벗어나기위해 q를 누르면 됩니다)

 · --help와 man의 차이 : help명령어는 화면을 벗어나지 않아요.

                                man명령어는 전용 페이지를 이동해 상세한 설명을 나타냅니다.

 · mkdir -p 디렉토리명/디렉토리명/디렉토리명/디렉토리명 : 부모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ex 2-1) 

mkdir -p dir1/dir2/dir3/dir4 

cd dir1/dir2/dir3/dir4 

pwd : dir4로 들어갑니다.


ex 2-2)

ls -a, ls --all : 모든 파일을 보여주는 것(숨김 파일을 다 보여줍니다.)

ls -al : 숨김 파일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ls -alS : 파일 사이즈에 따라 정렬합니다.







3. 필요한 명령을 검색으로 찾는 법

검색엔진은 구글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국내 검색엔진에 비해 해외 자료들까지 있어 개발 자료들이 많다고 합니다.

create directory in linux

예를 들어 파일 복사하고 싶은 리눅스 명령어를 찾고자 할 때 file copy in linux 검색을 합니다.

 · cp 파일위치&파일이름 (한칸 띄고) 파일위치&파일이름

아래 예제는 cp.txt 파일을 dir1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cp cp.txt dir1/cp.txt : dir1으로 cp.txt가 이동합니다.

확인을 위해 cd dir1 dir1으로 이동하여

ls -l 엔터를 하면 dir1을 cp.txt가 잘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이동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찾고자 할 때는 구글에 move file in linux 검색을 합니다.

touch mv.txt : mv.txt파일을 생성합니다.

 · mv mv.txt dir1/mv.txt  : mv.txt파일을 dir1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입니다.

mv 명령어는 파일을 이동하는 데 사용되지만 파일 이름을 바꾸는 데에도 사용 됩니다.

 · mv rename.txt rename2.txt 

ls -l 확인하면 파일명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명령어의 빈도수

보편적이고 빈도수가 많은 것을 밑천으로 공부하면 리눅스를 익히는 데 수월하다고 하네요~


생활코딩 리눅스 강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은 리눅스 (우분투 ubuntu) 서버 버전 설치 방법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서버 버전을 설치를 목적으로 도전했지만 우분투 사이트에서 서버 버전이 아닌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 받을 관계로 X window를 미리 보게되었네요...

서버 버전을 익히고 나서 보려고 했지만...

무튼 서버 버전 설치에 대해 소개해 드릴께요!



1. Oracle VM VirtualBox를 실행하여 새로 만들기(N)을 클릭합니다.

이름은 운영체제 + server + 버전 형태로 했어요.

ubunto (X) -> ubuntu(O)

또 실수를 해버렸네요....


2. 역시 메모리를 할당해 줍니다. 

메모리 용량은 1GB로 많으면 많을 수록 좋겠죠.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시다면 512MB도 괜찮답니다.



3.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C)"를 선택하여 만들기를 눌러줍니다.



4. VDI(VirtualBox 디스크 이미지)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다음을 누릅니다



5. 하드 용량은 자동으로 늘어나는 형태의 동적 할당으로 선택했습니다.

선택은 자유!



6. 하드 용량을 정하고 파일 위치 또한 기억하기 쉬운 위치에 저장해 줍니다.



7. 서버가 새로 만들어 졌습니다.

이제 우분투 서버 버전을 설치하겠습니다.



8. 만들어진 서버를 우클릭하여 설정으로 들어옵니다.

저장소를 클릭 - 비어 있음 - 가상 광 디스크 파일 선택...

다운 받은 iso 파일을 삽입!


9. 설치 화면 입니다. 언어는 한국어로 선택해주세요.



10. 우분투 서버 설치(I) 클릭!


11.  선택한 언어로 설치하는 물음에 예!



12.  위치는 대한민국으로 선택합니다.



13. 키보드 배열 설정은 아니요를 누릅니다.



14. 키보드 배치 역시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15. 키보드 배치는 둘 다 선택 가능합니다.



16. 호스트 이름은 네트워크 상의 도메인 역할입니다.



17. 사용자 계정은 자주 사용하고 기억할 수 있는 자신의 아이디를 적어주세요.



18. 암호 또한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암호를 입력해주는 것이 좋겠죠.

암호 확인을 위해 한 번 더 입력해주세요.



19. 어떤 파일도 암호화 하겠다는 설정은 아니요를 선택했습니다.

파일을 암호화 하고 싶으신 분들은 예를 눌러주세요.



20.  시간을 설정하는 부분에 있어 아시아/서울이 맞는지 확인하는 부분이에요.

예!



21. 자동 LVM설정을 선택해주세요




22. 예! 



23.  기본적으로 우분투에서 추천하는 크기로 설정합니다.

엔터!



24. 바뀐 점을 디스크에 쓰겠습니까? 

예!



25. 프록시 설정은 사용하지 않기에 <계속>을 눌러줍니다.



26.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여부를 묻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동 업데이트를 선호하지 않죠.



27. 소프트웨어 설치 부분은 놓쳤네요..

서버와 관련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부분인데요

설치할 프로그램이 없다면 이 부분도 <계속> 눌러주시면 됩니다.


28. 하드 디스크 부트 로더 설치에 예를 눌러줍니다.



29.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30.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로그인 완료하면 다면 우분투 서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이제 프롬프트에 리눅스 명령어를 입력하는 공부를 해야할 것 같아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상 머신은 서버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서버에 맞는 운영체제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데요.

리눅스 우툰부 설치 파일은 우분투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1. https://www.ubuntu.com/download 우툰부 다운로드 URL를 첨부할게요.

해당 주소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동 후 아래 네모 박스를 클릭합니다.



2. 우분투 최신 버전을 Download를 클릭하여 다운 받습니다.



3. 무료로 제공하는 만큼 이클립스와 같이 기부란이 있네요ㅎㅎ

당황하지 말고 

$0 로 맞춰준 뒤에 "Not now, take me to the download" 를 클릭합니다.



4.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면 파일은 다운로드 중일 것입니다.

iso 파일 다운이 완료될 때 까지 기다려주면 끝!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는 윈도우와 같은 운영체제의 종류입니다.

리눅스에도 종류가 나뉘는데요.

제가 설치하려는 우분투, 레드헷, 데비안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리눅스는 윈도우와 달리 비용없이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그러면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우분투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Oracle VM VirtualBox 실행화면입니다.



2.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새로운 서버를 만들어야겠죠?

새로 만들기(N)을 클릭합니다.

이름은 각자 보기 쉽게 정해줍니다.

저는 OS 서버 버전으로 정했습니다.

그래서 ubuntu server 16.04.3

아래 사진의 철자가 틀렸네요ㅋㅋ

u만 써도 종류가 Linux임을 알고 자동으로 바꿔주네요.

신기하네요~


2. 다음을 누르면 메모리 할당량이 나옵니다. 

각자의 컴퓨터 사양에 맞게 메모리를 분배해줍니다.

메모리 할당량이 많을수록 설치 속도나 서버 이용에 수월하겠죠?

개발자분들은 중고 사양의 컴퓨터를 구매하여 따로 서버 컴퓨터를 만든다고 하네요.

직접적으로 와닿지는 않네요...

개발자의 길은 멀고 험한 것 같아요ㅎㅎ

그치만 재미있는 부분도 있죠



3. 설치할 하드 드라이브가 있어야 OS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C)" 를 선택하여 만들기를 눌러줍니다. 



4.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저는 VirtualBox에서만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VDI를 체크박스하여 다음을 눌러줍니다.



5. 동적할당은 기존 크기에 용량이 늘어나면 자동으로 늘어나는 형태입니다.

고정 크기는 용량을 고정시키는 형태이죠. 

저는 동적 할당을 선택하였습니다.



6. 파일 위치와 크기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노란색으로 된 폴더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파일을 저장합니다.

또한 각자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맞는 하드 용량 분배를 해줍니다.



7.  만들기 버튼을 눌렀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즉 노트북의 새로운 서버가 만들어진 것이죠.

서버가 만들어진 상태이고 운영체제는 없는 상태입니다.

이제 운영체제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8. 서버를 우클릭하여 설정 화면으로 들어옵니다.



9. 설정 화면에서 저장소를 클릭합니다.

"가상 광 디스크 파일 선택..." 을 클릭합니다.

ubuntu-16.04.3-desktop-amd64.iso파일을 선택하여 확인을 누릅니다.

iso파일이 없으신 분들은

http://animal-park.titory.com/38 를 참고해주세요! 



10. 아래와 같은 설치 화면이 나오면 언어는 한국어를 찾아 선택합니다.



11.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12. 키보드 배치 형식을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계속"



13.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입력을 완료하셨다면 "계속"



14.  우분트 설치를 위한 정보 입력을 완료하셨습니다.

이제 설치가 진행중입니다. 



15. 설치가 완료되어 다시 시작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16. 로그인 완료 후 우분투 화면입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셨다면 설치가 잘 된 것입니다. 





=========================================================================


부수적으로 가상머신 사용법에 대해 추가합니다.

보기 메뉴를 클릭하면 전체 화면 모드, 크기 조정 모드 등 

Host + 키 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상 머신의 단축키로써 키보드에는 Host라는 키가 없죠.



환경 설정으로 들어와서 입력을 누르면  "호스트 키 조합" 부분이 Host를 말합니다.

저는 단축키를 Ctrl로 지정했어요.



우분투 설치를 처음 해봤는데 X window화면이 나와 당황하긴 했지만 무리없이 설치가 진행되어 다행이였습니다.

하지만 Command Line창에서 명령어 입력을 해보고 싶은데 

혹시 알고 계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아요ㅎㅎ

p.s 제가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서버 버전이 아닌 데스크탑 파일을 다운 받았네요ㅋㅋ

이런 실수를 하다니... 서버 버전은 따로 포스팅 하도록 할게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상머신이란??


운영체제 안에 또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즉, 자신의 운영체제 윈도우나 맥OS에 가상머신을 설치하여

가상머신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가상 머신의 장점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한 대에 컴퓨터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저는 리눅스 설치를 위해 가상 머신을 설치하였습니다.


OS의 종류도 다양하듯이 가상 머신에도 종류가 다양한데요.

그 중에서도 Oracle VM VirtualBox 설치 방법에서 알려드릴까합니다.


1.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에 접속하여 자신의 OS에 맞게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2. 설치를 완료하셨다면 실행해주세요!



3. 설치 파일을 확인하고 설치 경로를 지정해 줍니다.



4. 실행할 아이콘을 설치합니다.



5.  VirtualBox의 가상 네트워크 장치를 설치합니다.

주의 사항은 설치 도중에 인터넷이 끊길 수도 있다네요.



6.  정보가 설정되었으니 이제 Install버튼을 눌러 설치를 합니다.



7. 설치 셋업 화면입니다. 

소요시간은 1~2분 정도입니다.



8.  virtualbox설치에 필요한 컨트롤러, 어댑터를 설치합니다.



9.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피니시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실행이 됩니다.



10. Oracle VM VirtualBox의 실행 화면입니다.



다음은 가상머신을 이용해 리눅스(우분트) 설치를 포스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