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5. 인터넷, 네트워크 그리고 서버

25.1 Internet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터넷, 네트워크, 서버의 기초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내 컴퓨터에서 url주소를 google.com을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서버에서는 내 컴퓨터에 구글 화면을 전송하여 뜨게 해줍니다. 인터넷은 request와 response를 주고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게임 프로그램을 설치해 게임의 내용이 게임 회사의 서버로 전송하게 됩니다. 게임 회사의 서버를 게임 서버라고 부르며 채팅 프로그램이 깔려있다면 채팅 서버라고 부릅니다.

인터넷에 google.com을 입력하면 구글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이를 Domain name이라고 부릅니다. 

IP주소를 입력해봅시다.

ping google.com 리눅스에 ip주소를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결과는 172.21.25.78이 나오는데 이를 IP(Internet Protocol) adress라고 부릅니다. 구글에 접속하는 방법은 2가지가 되겠네요. 도메인에 google.com을 입력하는 것과 172.21.25.78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가지 방법이 있는 이유는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친구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화를 걸어야합니다. 전화를 거는 방법에도 2가지가 있는데요. 번호를 입력하는 것을(IP address)과 전화번호부에 이름을 검색하여 전화하는 방법(domain name)이 있습니다. 친구가 1명이라면 번호를 외우기 쉽겠지만 모든 번호를 외우는 것은 불가능하죠. 

여기서 또 문제가 있습니다. 내가 IP주소를 저장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172.21.25.78주소가 구글 홈페이지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DNS(Domain Name System)때문입니다. DNS는 이 세상의 모든 도메인이 각각 어떤 IP주소를 갖는 지 알 수 있는 거대한 전화번호부와 같습니다.

IP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컴퓨터가 DNS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찾아서 내 컴퓨터에 구글 IP주소를 알려줍니다.

친구를 자신의 집으로 초대할 때 자신의 주소를 알아야만 다른 사람이 찾아올 수 있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25.2 Internet2

서버 운영하는 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ip addr : 자신의 ip주소를 알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컴퓨터에 누군가 접속하기 위해  10.0.2.15주소로 접속하면 방문할 수 있다는 의미죠.

 GUI방식에서는 도메인에 ipinfo.io/ip를 입력하면 자신의 IP주소가 뜹니다.

curl ipinfo.io/ip : 역시 IP주소를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

두 개의 명령어 결과가 다른 이유는 ip addr은 컴퓨터의 실제 IP주소이고 

curl은 온라인 서비스 입장에서 자신에게 접속한 IP주소이기 때문입니다.



집은 장비마다 통신사가 별도의 계약을 체결을 하여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각각의 장비마다 다른 IP주소를 부여하게 되면 편리하지만 비용이 비싸다고 합니다.



비용 절감을 위해 통신사와 집은 하나의 회선만 계약을 하고 공유기(router)라는 장치를 통해 연결합니다.

통신사가 갖는 IP주소는 router가 갖게 됩니다. 각각의 장비들은 통신을 위해서는 IP주소가 반드시 필요하죠.

대표 router의 대표IP주소(Public Address)를 통해 각각의 장비(lap top, TV, Desktop, smart phone)가 IP주소(Private Address)를 갖게 됩니다.

서버 컴퓨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public address와 private address의 주소가 같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컴퓨터들은 같지 않기 때문에 서버 컴퓨터로 사용할 수 가 없습니다. 하지만 방법은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회사에는 대표 번호가 있어 대표 번호를 통해 각 부서에 연결을 시켜줍니다.

부서의 번호를 내선 번호라고 하죠. 대표 번호가 없이도 내선 번호끼리 통화를 할 수 잇습니다. 컴퓨터 역시 외부 컴퓨터가 접속할 수 없어도 라우터 간 컴퓨터는 접속할 수 있습니다.



26. 웹 서버(Apache)

26.1 apache intro

Web Server는 1대의 제한에서 벗어나 전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내 컴퓨터에 접속해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줍니다.

클라이언트가 index.html을 찾으려는 요청이 들어오면 웹 서버(apache, nginx, iis)는 저장 장치(ssd, hdd) 어딘가에 있는 index.html파일을 읽어 웹 브라우저(ie, firefox, chrome)에게 응답합니다.


26.2 apache install

 · super apt-get install apache2 : 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

 · sudo service apache2 start : 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 시작
 · sudo service apache2 stop : 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 종료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 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 재시작
 · sudo apt-get install elinks : elinks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설치
 · elinks ->google.com -> q를 통해 빠져 나올 수 잇습니다.



 · elinks http://10.0.2.15/ : Ubuntu logo Apache2가 나오면 성공적으로 설치되어 잘 접속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웹 서버의 주소를 알기 위해 ip addr명령어를 사용하였는데 이 외에도 자신의 컴퓨터로 접속하는 방법으로 localhost가 있습니다. 현재 1대의 컴퓨터에서 Web Browser와 Web Server가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진행하였습니다. 

WB를 통해 WS에 접속할 때 ip addr명령으로 서버의 IP주소를 알아내어 접속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localhost(127.0.0.1) 자기 자신의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입니다.



26.3 apache configuration

 · cd /etc : etc디렉토리로 이동, 여러 가지 동작 방법 설정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 cd apache2/ : etc/apache2로 이동, apache2에 대한 설정 파일이 있습니다.

 · nano apache2 : 설정 파일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sites-enabled/*.conf는 sites-enabled디렉토리 안 conf파일을 모두 읽는 다는 의미입니다.

 · ls -al : apache2프로그램의 파일 목록을 보여줍니다. sites-enabled 디렉토리 파일이 있습니다.


 · cd sites-enabled : sites-enabled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ls -l : 000-default.conf파일이 있습니다.

 · nano 000-default.conf : /var/www/html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 cd /var/www/html :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ls -al : index.html 파일이 있습니다.

 · elinks http://10.0.2.15/index.html : index.html파일로 이동합니다.



 · sudo nano helloserver.html : helloserver.html편집기로 이동합니다.

 · 간단한 <html><body>hello server! hello killershin!</body></html>문법을 입력합니다

 · ctrl+x -> y 저장을 합니다.

 · elinks http://10.0.2.15/helloserver.html : 웹 브라우저(elinks)의 helloserver.html요청에 웹 서버(아파치)가 응답합니다.



26.4 apache.log

 · cd /var/log/apache2/ : apache2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ls -al : access.log파일과 error.log파일이 위치합니다.

 · tail -f /var/log/apache2/access.log : 파일의 끝에 있는 정보만 출력, -f는 파일에 대해 실시간으로 끝에 정보를 추가시켜주는 옵션


27. 원격제어 (SSH)

27.1 SSH Intro

리눅스가 집중받는 이유는 서버 사용자 중 압도적인 다수가 리눅스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IOT 사물 인터넷 안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는 리눅스라고 합니다. 사물 인터넷은 인터넷을 통해 다루는 컴퓨터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 너머에 있는 원격 제어를 해야 하는 경우에 SSH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팀 뷰어 프로그램이 있죠. 원격 제어를 하면 인터넷만으로 컴퓨터를 다룰 수 있습니다.

SSH client server관계는 Web client server관계와 일치한다고 합니다.



27.2 SSH2

sudo apt-get purge openssh-server openssh-client : ssh 강력한 삭제 명령어

sudo ssh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openssh-client : ssh-server카테고리

sudo service ssh start : ssh 시작

sudo ps aux | grep ssh : 현재 실행 프로세스 중에 ssh 보여주게 된다.

ssh egoing@192.168.0.255 : 다른 컴퓨터에 입력 egoing컴퓨터로 접속한다.




생활코딩 리눅스 강의

728x90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이해하기10!!  (0) 2017.09.02
리눅스 명령어 이해하기9!!  (0) 2017.09.01
리눅스 명령어 이해하기7!!  (0) 2017.08.30
리눅스 명령어 이해하기6!!  (0) 2017.08.29
리눅스 명령어 이해하기5!!  (0) 2017.08.28

+ Recent posts